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포럼 비프

패널

세션 1 리부팅 한국영화

기조발제
한국 김홍준 한국영상자료원 원장
한국영상자료원 원장이다. <장미빛 인생>(1994), <정글스토리>(1996) 등을 연출하였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사회
한국 이주영 한국영상자료원 수집팀 팀장
한국영상자료원 수집팀 팀장이다. 원본 소스데이터, 독립영화 아카이브 구축 등 다양한 수집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한국 박세호 한국영상자료원 프로그래머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프로그래머이다. 한국 촬영감독 특별전, 덱스터 10주년 기념전, 1950~60년대 SF 영화 등을 기획했다.
한국 정찬철 부경대학교 교수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이자 영화ˑ미디어학 연구자이다.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한국영화의 디지털 글로벌 웨이브’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 김승경 한국영상자료원 수집팀 연구원
한국영상자료원 수집팀 연구원이다.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영화 자료 수집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겸임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발제
한국 김병인 넷플릭스 사운드 테크놀로지스트
넷플릭스 아태지역 오리지널 콘텐츠의 사운드 제작을 지원하는 매니저이다. 글로벌 오디오 기술 전략과 품질 관리 업무를 담당했다. 사운드 슈퍼바이저 및 에디터로서 <명량>(2014), <기생충>(2019), <파묘>(2024) 등에 참여했다.
한국 박민영 한국영상자료원 디지털복원팀 사운드 복원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영화 음향 복원을 담당하고 있다. 라이브톤에서 대사 에디터로 근무했으며, 스페인 Elías Querejeta Zine Eskola(EQZE)에서 아카이브를 전공했다.
한국 정민재 ㈜ 노느니특공대엔터테인먼트 VFX팀장
㈜노느니특공대엔터테인먼트 VFX팀장이다. 언리얼 엔진 기반 시각화 및 제작에 특화된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VFX 전문가이다.
한국 유태경 중앙대학교 부교수
중앙대학교 예술공학대학 부교수이다. <미스터고>(2013), <해적>(2014), <신과 함께>(2017) 등 영화 시각효과 작업을 했으며, 웹툰을 원작으로 한 시네마틱 VR 포맷을 개발해 <The Tide>(2018), <Help Me>(2019) 등을 연출했다.
토론
한국 강윤성 영화감독
영화감독으로 <범죄도시>(2017), <롱 리브 더 킹: 목포 영웅>(2019)을 비롯해 디즈니+ 시리즈 <카지노>(2022~2023), <파인: 촌뜨기들>(2025)을 연출했다. 영화 <중간계> 각본·연출을 마치고 개봉을 앞두고 있다.
한국 김익상 서일대학교 교수
프로듀서이자 서일대학교 교수이다. <가위>(2000), <2009 로스트 메모리즈>(2002), <흡혈형사 나도열>(2006) 등 VFX를 활용한 장르영화를 주로 제작해 왔다.
한국 손승현 ㈜웨스트월드 대표이사
㈜웨스트월드 대표이사이며, 영화 <퇴마록>(1998)을 시작으로 한국 VFX를 이끈 1세대 슈퍼바이저이다. <파묘>(2024), <지금 우리 학교는>(2022), <스위트홈 시즌 1>(2020) 등 150편 이상의 제작에 참여했다.

세션 2 지역에서 세계로 향하는 시각문화의 미래

사회
한국 최원호 동서대학교 교수
동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교수로 부산대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사업인 Brain Korea 21사업의 사업단장을 맡고 있으며, 저서 『디지털 영상 미학』(2021) 등이 있다.
발제
중국 순리쥔 베이징필름아카데미 소장
베이징필름아카데미 중국애니메이션연구원 원장이며 중국영화협회 이사로 있다. 베이징필름아카데미 부원장을 역임했으며 연출작으로 <레전드 오브 어 래빗>(2011) 등이 있다.
미국 마이클 영 뉴욕필름아카데미 총장
뉴욕영화아카데미의 총장 겸 CEO이다. NYU Tisch School of the Arts에서 영화연출 MFA 학위를 취득했다. 다큐멘터리 <Turn Every Page>의 총괄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미국 에릭 오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UCLA에서 영화를 전공했다. 단편 애니메이션 <오페라>를 연출했으며, 미디어 체험 전시 <O: Erick Oh Retrospective>(2023)를 개최했다.
토론
한국 김해윤 동서대학교 교수
동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교수로 있다. 시카고예술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art& technology 전공했으며, 2025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참여했다.

세션 3 아시아 영상 교육의 미래

기조발제
한국 김소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교수,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연구소 소장이자 영화감독이다. 저서 Korean Cinema in Global Contexts: Postcolonial Phantom, Blockbuster and Trans Cinema (2022) 등이 있으며, 영화 <경>(2009) 을 연출했다.
사회
한국 최용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원장이자 한국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이다. <괴물>(2006), <26년>(2012), <효자동 이발사>(2004) 등을 제작했다.
한국 최민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이자 편집감독이다. 대표작으로 <웰컴 투 동막골>(2005), <설국열차>(2013), 드라마 <손 the guest>(2018) 등이 있다.
발제
한국 이정민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교수이며, PISAF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집행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TV 시리즈 <안녕 자두야> 프리프로덕션 총괄했다.
한국 편장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이자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조직위원이다. 제작 작품으로 <여름 속삭임>(2008) 등이 있으며, 저서로 『영화속으로』(2021) 등이 있다.
캄보디아 힘 소티샤 캄보디아 정보부 정무장관
캄보디아 정보부 정무장관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했다. 캄보디아 왕립미술대학(RUFA) 무용예술학부 부학장으로 재직했으며 다수의 TV 광고와 영화 작업에 참여했다.
한국 안지혜 (주)위팹 총괄 프로듀서
AFA 프로듀서, FLY 프로젝트 슈퍼바이저, 부산아시아 영화학교 팀장으로 근무했다. 현재 ㈜위팹 총괄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토론
일본 덴간 다이스케 일본영화대학 학장
일본영화대학 학장이자,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이다. <아이키>(2002), <웨이팅 인 더 다크>(2006), <덴데라>(2011) 등을 연출했으며, <12인의 자객>(2011), <오디션>(2023)등의 각본을 집필했다.
중국 리우위 베이징필름아카데미 부교수
베이징필름아카데미 프로덕션매니지먼트학과 부교수이자 시나리오 작가, 감독이다. TV 시리즈 <봉인>(2014), <국중인>(2020), <더 올드 독>(2022) 등의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
인도네시아 막불 무바락 영화감독
인도네시아의 영화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로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했다. <더 말레딕션>(2016), <자서전>(2022)을 연출했다.
한국 이승희 영화평론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2024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가상을 수상했다.
미국 티안 리 예일대학교 강사
예일대, 하버드대, 스탠퍼드대에서 동아시아 영화·미디어·문학을 가르쳐 왔다. 주요 논문으로 Opening a Virtual Space before the Door of the Law: The Transnational Togani Effect from Silenced to Angels Wear White (202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