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를 꿈꾸는 아시아영화
- 기조발제
-
중국
지아장커
영화감독
중국의 영화감독, 작가, 프로듀서이자, 핑야오국제영화제의 창립자이다. 연출작 <소무>(1998), <스틸 라이프>(2006), <천주정>(2014) 등이 있다.
세션 1 아시아영화, 국제공동제작의 새 챕터를 열다
- 사회
-
한국
서대정
부산대학교 교수
한양대학교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 발제
-
싱가포르
필립 쉐아
영화평론가
싱가포르의 영화평론가이자 족자-넷팩아시안영화제, 하노이국제영화제, 바쿠나와영화제, 상하이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램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장건재
영화감독
모쿠슈라 소속 총괄 프로듀서이자 감독이다. <한여름의 판타지아>(2014), <달이 지는 밤>(2020),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2022), <한국이 싫어서>(2023) 등을 연출했다.
일본
에이코 미즈노 그레이
로디드필름 CEO, 프로듀서
일본 로디드필름(Loaded Films)의 CEO이자 프로듀서이다.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지구의 끝까지>(2019), 하야카와 치에 감독의 <플랜 75>(2022), <르누아르>(2025) 등을 제작했다.
일본
하야카와 치에
영화감독
일본의 영화감독이다. 연출작 <나이아가라>(2014), <플랜 75>(2022), <르누아르>(2025) 등이 있다.
- 토론
-
한국
강내영
경성대학교 교수
중국 베이징사범대학 예술학원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로 있다. 저서 『세계 청년영화감독 열전』(2025) 등이 있다.
중국
량잉
에테르 프로덕션 프로듀서
중국의 프로듀서이다. <푸춘산의 삶>(2019), <강변의 착오>(2023), <디어 스트레인저>(2025) 등의 제작에 참여했다.
한국
조지훈
무주산골영화제 프로그래머
인천다큐포트(아시아다큐프로젝트마켓) 프로듀서, 다큐멘터리 웹진 《DOCKING》 편집장, 무주산골영화제 부집행위원장 겸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 <달이 지는 밤>(2020)을 기획 및 제작했다.
세션 2 OTT는 아시아영화 산업을 살리는가, 삼키는가
- 사회
-
한국
박현선
조지메이슨대학교 조교수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에서 동아시아 문화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조지메이슨대학교 조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rough the Lens of South Korean Cine-feminism: House of Hummingbird and Moving On (2024) 등이 있다.
- 발제
-
한국
박진희
중앙대학교 영화연구자
중앙대학교 첨삼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을 전공했으며, ㈜아이유노글로벌, 한국영상자료원 등에서 근무했다. OTT 관련 연구로는 「한중일 OTT 플랫폼의 현재와 과제: 드라마 유통 및 제작 현황을 중심으로」(2024) 등이 있다.
대만
필 탕
Grx Studio 이사장, 프로듀서
대만 Grx Studio의 이사장이자 프로듀서이다. 시리즈물 <우리와 악의 거리>(2019), <희생자 게임>(2020), <카피캣 킬러>(2023) 등을 제작했다.
- 토론
-
태국
돈사론 코빗바니차
방콕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로듀서
태국 방콕국제영화제 집행위원이자 독립영화 프로듀서이다. <다이 투모로우>(2017), <마릴라: 이별의 꽃>(2017), <모범생 아논>(2022) 등을 제작했다.
한국
이화배
이화배컴퍼니 대표
이화배컴퍼니(주) 대표로 추계예술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 『영화는 배급이다: 흥행을 완성하는 전략과 실무』(2020)가 있다.
한국
황승흠
국민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있다.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 기조발제
-
중국 지아장커 영화감독중국의 영화감독, 작가, 프로듀서이자, 핑야오국제영화제의 창립자이다. 연출작 <소무>(1998), <스틸 라이프>(2006), <천주정>(2014) 등이 있다.
세션 1 아시아영화, 국제공동제작의 새 챕터를 열다
- 사회
-
한국 서대정 부산대학교 교수한양대학교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 발제
-
싱가포르 필립 쉐아 영화평론가싱가포르의 영화평론가이자 족자-넷팩아시안영화제, 하노이국제영화제, 바쿠나와영화제, 상하이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램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한국 장건재 영화감독모쿠슈라 소속 총괄 프로듀서이자 감독이다. <한여름의 판타지아>(2014), <달이 지는 밤>(2020), <5시부터 7시까지의 주희>(2022), <한국이 싫어서>(2023) 등을 연출했다.일본 에이코 미즈노 그레이 로디드필름 CEO, 프로듀서일본 로디드필름(Loaded Films)의 CEO이자 프로듀서이다.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지구의 끝까지>(2019), 하야카와 치에 감독의 <플랜 75>(2022), <르누아르>(2025) 등을 제작했다.일본 하야카와 치에 영화감독일본의 영화감독이다. 연출작 <나이아가라>(2014), <플랜 75>(2022), <르누아르>(2025) 등이 있다.
- 토론
-
한국 강내영 경성대학교 교수중국 베이징사범대학 예술학원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로 있다. 저서 『세계 청년영화감독 열전』(2025) 등이 있다.중국 량잉 에테르 프로덕션 프로듀서중국의 프로듀서이다. <푸춘산의 삶>(2019), <강변의 착오>(2023), <디어 스트레인저>(2025) 등의 제작에 참여했다.한국 조지훈 무주산골영화제 프로그래머인천다큐포트(아시아다큐프로젝트마켓) 프로듀서, 다큐멘터리 웹진 《DOCKING》 편집장, 무주산골영화제 부집행위원장 겸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 <달이 지는 밤>(2020)을 기획 및 제작했다.
세션 2 OTT는 아시아영화 산업을 살리는가, 삼키는가
- 사회
-
한국 박현선 조지메이슨대학교 조교수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에서 동아시아 문화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조지메이슨대학교 조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rough the Lens of South Korean Cine-feminism: House of Hummingbird and Moving On (2024) 등이 있다.
- 발제
-
한국 박진희 중앙대학교 영화연구자중앙대학교 첨삼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을 전공했으며, ㈜아이유노글로벌, 한국영상자료원 등에서 근무했다. OTT 관련 연구로는 「한중일 OTT 플랫폼의 현재와 과제: 드라마 유통 및 제작 현황을 중심으로」(2024) 등이 있다.대만 필 탕 Grx Studio 이사장, 프로듀서대만 Grx Studio의 이사장이자 프로듀서이다. 시리즈물 <우리와 악의 거리>(2019), <희생자 게임>(2020), <카피캣 킬러>(2023) 등을 제작했다.
- 토론
-
태국 돈사론 코빗바니차 방콕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로듀서태국 방콕국제영화제 집행위원이자 독립영화 프로듀서이다. <다이 투모로우>(2017), <마릴라: 이별의 꽃>(2017), <모범생 아논>(2022) 등을 제작했다.한국 이화배 이화배컴퍼니 대표이화배컴퍼니(주) 대표로 추계예술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 『영화는 배급이다: 흥행을 완성하는 전략과 실무』(2020)가 있다.한국 황승흠 국민대학교 교수서울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있다.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