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를 구하라
- 기조발제
-
한국
민규동
영화감독
한국영화아카데미, 파리8대학 영화과에서 MFA 학위를 취득했다.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1999)로 데뷔했으며, <허스토리> (2018), <파과>(2025) 등을 연출했다.
세션1 1996 플래시백: 한국영화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나
- 사회
-
한국
김이석
동의대학교 교수
동의대학교 영화학과 교수로 파리8대학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독립영화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저서로 『부산, 영화로 이야기하다』(2017) 등이 있다.
- 발제
-
한국
안시환
영화평론가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영화이론을 공부했다. 현재 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김성훈
씨네21 디지털콘텐츠본부장
영화주간지 《씨네21》 디지털콘텐츠 본부장이다. 영화 <경계>(2006), <사랑>(2007) 등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저서 『빛의 설계자들』(2024)을 썼다.
- 토론
-
한국
이준동
나우필름, 파인하우스필름 대표
나우필름(주)과 파인하우스필름(주)의 대표이사이자 제작자이다.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2013), <도희야>(2014), <버닝>(2018) 등을 제작했다.
한국
주유신
영산대학교 교수
영산대학교 교수로 중앙대에서 영상예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 『씨네페미니즘: 여성의 시각으로 영화를 읽는 13가지 방법』(2017) 등을 출간했다.
한국
차승재
오브라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영화제작자로 동국대 영상대학원 전임교수,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살인의 추억>(2003), <타짜>(2006), <패션왕>(2014) 등을 제작했다.
한국
한재덕
사나이픽처스 대표, 프로듀서
사나이픽처스 대표이자 영화제작자이다. <무뢰한>(2015), <오케이! 마담>(2020), <헌트>(2022) 등을 제작했다.
세션 2 한국독립영화는 어떤 꿈을 꾸는가
- 사회
-
한국
문관규
부산대학교 교수
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로 동국대 연극영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아시아영화연구》 편집위원장이며, 저서 『한국 독립영화 감독 연구』(2011) 등이 있다.
- 발제
-
한국
원승환
인디스페이스 관장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관장이다. 대구독립영화협회 사무국장, 인디포럼 프로그래머, 한국독립영화협회 사무국장, 독립영화배급지원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한국
차한비
영화 저널리스트
영화 웹진 『REVERSE』 기자이자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연구 저널 《ACT!》 편집위원이다. 저서 『모든 소란을 무지개라고 바꿔 적는다』(2024)가 있다.
한국
박송열
사랑하자 공동대표, 영화감독
제작사 사랑하자 공동대표이자 독립영화 감독이다. 연출작으로 <가끔 구름>(2018),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고>(2021), <키케가 홈런을 칠거야>(2024)가 있다.
한국
박두희
영화사 달리기 대표, 프로듀서
㈜영화사 달리기 대표이자 프로듀서이다. CJ E&M과 리틀빅픽처스 등에서 근무했으며,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모〉(2016), 〈윤희에게〉(2019), <두 번째 아이>(2025) 등을 제작했다.
- 토론
-
한국
김진유
영화감독
영화감독이자 정동진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로 활동하고 있다. 연출작으로 <나는 보리>(2018), <흐르는 여정>(2024)이 있다.
한국
성송이
씨네소파 이사장
영화배급협동조합 씨네소파 이사장이다. <한 채>(2024), <마녀들의 카니발>(2024), <벗어날 탈 脫>(2024) 등을 배급했다.
한국
조영각
프로듀서
프로듀서이다.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돼지의 왕>(2011),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2011) 등을 제작했다.
- 기조발제
-
한국 민규동 영화감독한국영화아카데미, 파리8대학 영화과에서 MFA 학위를 취득했다.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1999)로 데뷔했으며, <허스토리> (2018), <파과>(2025) 등을 연출했다.
세션1 1996 플래시백: 한국영화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나
- 사회
-
한국 김이석 동의대학교 교수동의대학교 영화학과 교수로 파리8대학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독립영화협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저서로 『부산, 영화로 이야기하다』(2017) 등이 있다.
- 발제
-
한국 안시환 영화평론가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영화이론을 공부했다. 현재 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한국 김성훈 씨네21 디지털콘텐츠본부장영화주간지 《씨네21》 디지털콘텐츠 본부장이다. 영화 <경계>(2006), <사랑>(2007) 등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저서 『빛의 설계자들』(2024)을 썼다.
- 토론
-
한국 이준동 나우필름, 파인하우스필름 대표나우필름(주)과 파인하우스필름(주)의 대표이사이자 제작자이다.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2013), <도희야>(2014), <버닝>(2018) 등을 제작했다.한국 주유신 영산대학교 교수영산대학교 교수로 중앙대에서 영상예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 『씨네페미니즘: 여성의 시각으로 영화를 읽는 13가지 방법』(2017) 등을 출간했다.한국 차승재 오브라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영화제작자로 동국대 영상대학원 전임교수,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살인의 추억>(2003), <타짜>(2006), <패션왕>(2014) 등을 제작했다.한국 한재덕 사나이픽처스 대표, 프로듀서사나이픽처스 대표이자 영화제작자이다. <무뢰한>(2015), <오케이! 마담>(2020), <헌트>(2022) 등을 제작했다.
세션 2 한국독립영화는 어떤 꿈을 꾸는가
- 사회
-
한국 문관규 부산대학교 교수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로 동국대 연극영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아시아영화연구》 편집위원장이며, 저서 『한국 독립영화 감독 연구』(2011) 등이 있다.
- 발제
-
한국 원승환 인디스페이스 관장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관장이다. 대구독립영화협회 사무국장, 인디포럼 프로그래머, 한국독립영화협회 사무국장, 독립영화배급지원센터 소장을 역임했다.한국 차한비 영화 저널리스트영화 웹진 『REVERSE』 기자이자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연구 저널 《ACT!》 편집위원이다. 저서 『모든 소란을 무지개라고 바꿔 적는다』(2024)가 있다.한국 박송열 사랑하자 공동대표, 영화감독제작사 사랑하자 공동대표이자 독립영화 감독이다. 연출작으로 <가끔 구름>(2018),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고>(2021), <키케가 홈런을 칠거야>(2024)가 있다.한국 박두희 영화사 달리기 대표, 프로듀서㈜영화사 달리기 대표이자 프로듀서이다. CJ E&M과 리틀빅픽처스 등에서 근무했으며,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모〉(2016), 〈윤희에게〉(2019), <두 번째 아이>(2025) 등을 제작했다.
- 토론
-
한국 김진유 영화감독영화감독이자 정동진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로 활동하고 있다. 연출작으로 <나는 보리>(2018), <흐르는 여정>(2024)이 있다.한국 성송이 씨네소파 이사장영화배급협동조합 씨네소파 이사장이다. <한 채>(2024), <마녀들의 카니발>(2024), <벗어날 탈 脫>(2024) 등을 배급했다.한국 조영각 프로듀서프로듀서이다.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돼지의 왕>(2011),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2011) 등을 제작했다.